음악이론

[음악통론] 박자표(Time Signature): 리듬을 결정하는 음악의 중심 기호

리울(re_ul) 2024. 12. 19. 14:05
728x90
반응형

안녕하세요,

리울(Re_ul)입니다! 🎵

 

지난번에는 음표에 대해서 공부해 봤습니다~

 

[음악통론]리듬을 그리는 기초: 음표

안녕하세요! 리울(Re_ul)입니다. 🎹  지난시간에는 조표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. 조표:음악의 문을 여는 기호(1) [음악통론] "조표": 음악의 문을 여는 기호 (1)안녕하세요!리울(Re_ul)입니다. 😊 

reul7.tistory.com

 

 

 

이번엔 음악의 리듬과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박자표(Time Signature)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악보를 처음 접할 때 박자표는 단순히 숫자처럼 보일 수 있지만, 음악의 흐름과 리듬을 이해하는 핵심 요소입니다.

 

하나씩 천천히 살펴볼까요?


먼저 마디에 대해서 살펴봅시다.

마디(Measure)는 음악에서 리듬을 구분하는 기본 단위입니다.

  • 위 사진 처럼 세로줄(Barline)로 구분되며 세로줄과 세로줄 사이가 한 마디가 됩니다.
    세로 줄은 겹세로줄, 끝세로줄 등등 여러가지 종류가 또 있는데 오늘은 위에 한줄짜리 세로줄만 생각해보시면됩니다.  
  • 그러면 한 마디 안에 음표가 무한정 들어갈까요? 법칙이 없다면 한마디에 수 많은 음표를 넣을 수 도 있겠죠? 
    그래서 박자표에 의해 한 마디에 음표가 몇 개 들어갈수 있는지 정해지는 겁니다. 

박자표

박자표(Time Signature)음악의 리듬을 결정하는 기호입니다. 악보에서 음자리표조표 다음 위치에 표기됩니다.

 

박자표는 일반적으로 분수 형태로 표기됩니다.

  • 위 숫자: 한 마디에 들어가는 박자의 수를 의미합니다.
  • 아래 숫자: 어떤 음표가 한 박(기준 박)으로 사용되는지를 나타냅니다.

예를 들어, 4/4 박자라면 한 마디에 4개의 박이 있으며, 그 한 박은 4분음표로 구성됩니다. 6/8 박자라면 한 마디에 6개의 8분음표가 들어간다는 뜻이 됩니다.

 

그러면 4/4 박자에는 음표가 어떻게 들어갈 수 있을까요?

 

위 이미지 처럼 4/4 박자의 경우 최대 4분음표 기준으로 4박이니까, 8분 음표로는 8개, 16분음표로는 16개의 음표로 마디를 체울 수 있습니다. 

하나만 더 예시를 들어보면 6/8 박자는 

 

위 악보처럼 8분 음표가 6개, 그래서 점 4분 음표로는 2개 4분음표로는 3개, 이런식으로 한 마디를 체울 수 있게됩니다. 

 

그러면 계산이 가능하시겠죠??


박자표 유형

박자는 센박과 몇개의 여린박으로 구성이 됩니다.  이 센박이 몇 박 마다 오느냐에 따라서 계열(2박, 3박, 4박)을 나누게 되요. 

이렇게 계열로 나눈 박자를 두가지로 또 구분할수 있는데요 바로 홑박자(단순 박자, Simple Time) 겹박자(복합 박자,Compound Time)

 

  • 홑박자(단순 박자, Simple Time) 
    • 2, 4, 8 등 단순한 값으로 나뉘고, 한 박이 기본 단위, 박자가 딱딱 나뉘는 리듬
    • 한 박을 "반으로 쪼갤 수 있는" 리듬
    • 예를 들어, 한 박에 ♩(4분음표) 1개가 들어가거나, ♪(8분음표) 2개가 들어가는 식
  • 겹박자(복합 박자,Compound Time)
    • 겹박자는 한 박을 세 조각으로 나누는 리듬이에요.
    • 예를 들어, 한 박에 ♪ ♪ ♪(8분음표 3개)가 들어가는 식

 

이외에 종류가 아니라 박자의 사용상 구분이 되는 것들은 섞음 박자(Mixed Time)변박자(Changing Time) 이렇게 있습니다. 

 

  • 섞음 박자(Mixed Time)
    • 단순 박자와 복합 박자가 결합된 형태입니다.
    • 불규칙적인 리듬을 표현하거나 독특한 음악적 분위기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.
    • 예시: 5/4 (3박 + 2박), 7/8 (4박 + 3박)
  • 변박자(Changing Time)
    • 곡의 중간에 박자표가 바뀌는 경우입니다.
    • 클래식 음악이나 현대 음악에서 자주 등장합니다.

표로 분류해서 편하게

박자표는 리듬의 형태에 따라 2박 계열, 3박 계열, 4박 계열로 나뉘고, 각 계열은 홑박자겹박자로 세부 구분이 되는걸 표로 보여드리겠습니다. 

또 한가지 더 말하면 4박 계열은 2등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2박 계열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 

 

 

">" 표시는 나중에 다시 설명을 드릴꺼지만 악센트로 강박을 의미합니다. 큰 건 강박, 작은건 중강, 없으면 약박입니다. 

이러한 리듬 체계로 강세가 들어가게 됩니다. 


5/4 같은 혼합 박자의 강세는 어떻게 구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. 5개의 박자를 2+3 으로 나누면 |강 약 중강 약 약| 이렇게 되고 3+2로 나누면 |강 약 약 중강 약 약| 이런식으로 만들어집니다. 


BPM

마지막으로 살펴볼건 BPM에 대해서 입니다! 추후에 다시 자세하게 설명을 할거니, 오늘은 간단하게만 설명하도록하겠습니다. 

가끔 악보 상단을 보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를 보신적이 있으시죠?

이 표시가 BPM을 나타표시 입니다. BPM은 "Beats Per Minute"의 약자로, 1분 동안 몇 개의 박자가 반복되는지를 의미합니다. 

위의 이미지 처럼 왼쪽에 있는건 기준이 되는 박자입니다. 오른쪽은 기준 음표가 1분에 몇개가 나오게 되는가? 입니다. 그러면 위의 이미지는 4분음표가 1분에 60개 곧 1초에 한번씩 울린다는 이야기가 됩니다.

기준박은 그 곡의 박자표의 기준박에 따라 설정이 됩니다. 

 


 

박자표는 음악의 리듬과 구조를 이해하는 핵심 기호입니다. 단순 박자와 복합 박자를 구분하고, 2박, 3박, 4박 계열에 따라 구성을 이해하면 악보를 훨씬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. 🎶

 
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 😊🎼

 

728x90
반응형